- 아나콘다 가상환경 작성방법
- 파이썬에서 thumbnail만들면서 io 에러난 경우 해결방법
- libraw 라이브러리 사용방법
- 아나콘다 업데이트하기
- 우분투에서 python pip 인스톨하기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10/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9/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8/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7/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6/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5/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4/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3/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2/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1/10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13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12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11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10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9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8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7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6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5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4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3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2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1 / 13
- 파이썬으로 문자열 다루기 2/2
- 파이썬으로 문자열 다루기1/2
- 파이썬에서 사전 데이터 유형 이용하기2
- 파이썬에서 사전 데이터 유형 이용하기
- 파이썬에서 문자열 연결 및 복제하기
- 파이썬에서 수학 연산자 사용하기
- 13. 데이터베이스 13.8 데이터 삭제
- 13. 데이터베이스 13.7 데이터 수정
- 13. 데이터베이스 13.6 데이터 검색
- 13. 데이터베이스 13.5 데이터 조회
- 13. 데이터베이스 13.4 데이터 입력
- 13. 데이터베이스 13.3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생성하기
- 13. 데이터베이스 13.2 SQL 맛보기
- 13. 데이터베이스 13.1 데이터베이스 설치 Curr
- 12. 디버깅
- 11.표준 라이브러리 11.2 logging 모듈
- 11. 표준 라이브러리 11.1 sys 모듈
- 10. 예외처리 10.6 with
- 10. 예외처리 10.5. try finally
- 10. 예외처리 10.4 예외 발생시키기
- 10. 예외처리 10.3 예외 처리
- 10. 예외처리 10.2 예외
- 10. 예외처리 10.1 오류
- 9.입력과 출력 9.4 유니코드
- 9.입력과 출력 9.3 Pickle
- 9.입력과 출력 9.2 파일입출력
- 9. 입력과 출력 9.1 입출력
- 8.자료구조 8.7 넘파이(numpy)
- 8.자료구조 8.6 집합(Set)
- 8.자료구조 8.5 열거형(Enum)
- 8.자료구조 8.4 사전
- 8.자료구조 8.3 튜플
- 8.자료구조 8.2 리스트
- 8.자료구조 8.1 문자열
- 7. 클래스 7.4 상속
- 7. 클래스 7.3 객체 초기화
- 7. 클래스 7.2 클래스의 사용
- 7. 클래스 7.1 클래스 정의하기
- 6. 모듈 과 패키지 6.5 패키지
- 6. 모듈 과 패키지 6.4 모듈의 name속성
- 6. 모듈 과 패키지 6.3 바이트 컴파일된 .pyc 파일
- 6. 모듈 과 패키지 6.2 dir() 함수를 이용하여 모듈 정보 알아내기
- 2018년 3월 프로그래밍 인기순위
- 6. 모듈 과 패키지 6.1 모듈을 정의하고 불러오기
- 5. 함수 5.7 람다(lambda) 함수
- 5. 함수 5.6 파이썬 내장함수
- 5. 함수 5.5 DocString
- 5. 함수 5.4 VarArgs 매개 변수
- 5. 함수 5.3 키워드 인수
- 5. 함수 5.2 기본 인수값
- 5. 함수 5.1 지역변수
- 4. 제어문 다루기 4.3 for
- 4. 제어문 다루기 4.2 while
- 4. 제어문 다루기 4.1 if문
- 파이썬 Python - OS.PATH 기초 정리
- 3. 연산자와 수식
- 2. 파이썬 기초 2.2 파이썬 기초
- 2. 파이썬 기초 2.1 첫걸음
- python 메소드 및 함수정리 모음
- C급 개발자와 함께하는 파이썬 - 01. 파이선 시작하기 #4
- C급 개발자와 함께하는 파이썬 - 01. 파이선 시작하기 #3
- 파이썬으로 간단한 스케줄러 만들기
- C급 개발자와 함께하는 파이썬 - 01. 파이선 시작하기 #2
- C급 개발자와 함께하는 파이썬 - 01. 파이선 시작하기 #1
- 파이썬(python)으로 RSS 크롤링하기
- Ubuntu(우분투) 리눅스에서 파이썬 설치하기
- 유용한 파이썬 라이브러리 모듈
- 파이썬으로 오늘날짜 폴더 생성하기
- 파이썬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 두뇌를 정복하는 방법
- 윈도에서 BeautifulSoup4 설치방법
- 파이썬 알고리즘 배우기 좋은 사이트
13. 데이터베이스 13.1 데이터베이스 설치
C급 개발자와 함께하는 파이썬
13.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는 위키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영어: database, DB)는 체계화된 데이터의 모임이다.[1] 즉, 작성된 목록으로써 여러 응용 시스템들의 통합된 정보들을 저장하여 운영할 수 있는 공용 데이터들의 묶음이다”
데이터베이스란 우리가 프로그램으로 작업을 할때 메모리에 있는 정보를 저장해서 이후에도 사용이 가능하게끔 하는것입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로는 ORACLE, MSSQL, MySQL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RDBMS라고 해서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입니다. 현재 데이터베이스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RDBMS를 가리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RDBMS말고도 NoSQL형태의 데이터베이스도 요즘에 많이들 사용하고 있습니다. NoSQL은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를 위해 설계되었는데 Hadoop, MongoDB, Cassandra등의 데이터베이스가 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무료로 배포되고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MySQL을 접속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가져오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는 일반적으로 Query를 통해서 데이터를 저장 및 가져오는데 이부분에 대해서는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아주 간략하게 설명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13.1 데이터베이스 설치
여기에서는 MySQL을 설치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내용은 윈도우에서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https://dev.mysql.com/downloads/windows/
위 화면의 링크로 들어가서 MySQL Installer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위의 화면에서 MySQL Server를 클릭하여 아래화면에서 해당하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32, 64비트 선택해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요즘은 대부분 64비트이지만 윈도에서 아래화면을 통해서 64비트인지 32비트인지 확인후에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로그인을 하라고 나옵니다. 로그인 계정이 있으신분은 로그인하시고 없으시분은 붉은색 원안에 있는 No thanks, just start my download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Wisdom stands at the turn in the road and calls upon us publicly, but we consider it false and despise its adher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