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나콘다 가상환경 작성방법
- 파이썬에서 thumbnail만들면서 io 에러난 경우 해결방법
- libraw 라이브러리 사용방법
- 아나콘다 업데이트하기
- 우분투에서 python pip 인스톨하기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10/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9/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8/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7/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6/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5/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4/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3/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2/10
- 파이썬으로 웹 스크랩하기1/10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13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12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11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10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9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8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7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6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5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4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3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2 / 13
- 파이썬으로 파일 다루기 1 / 13
- 파이썬으로 문자열 다루기 2/2
- 파이썬으로 문자열 다루기1/2
- 파이썬에서 사전 데이터 유형 이용하기2
- 파이썬에서 사전 데이터 유형 이용하기
- 파이썬에서 문자열 연결 및 복제하기
- 파이썬에서 수학 연산자 사용하기
- 13. 데이터베이스 13.8 데이터 삭제
- 13. 데이터베이스 13.7 데이터 수정
- 13. 데이터베이스 13.6 데이터 검색
- 13. 데이터베이스 13.5 데이터 조회
- 13. 데이터베이스 13.4 데이터 입력
- 13. 데이터베이스 13.3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생성하기
- 13. 데이터베이스 13.2 SQL 맛보기
- 13. 데이터베이스 13.1 데이터베이스 설치
- 12. 디버깅
- 11.표준 라이브러리 11.2 logging 모듈
- 11. 표준 라이브러리 11.1 sys 모듈
- 10. 예외처리 10.6 with
- 10. 예외처리 10.5. try finally
- 10. 예외처리 10.4 예외 발생시키기
- 10. 예외처리 10.3 예외 처리
- 10. 예외처리 10.2 예외
- 10. 예외처리 10.1 오류
- 9.입력과 출력 9.4 유니코드
- 9.입력과 출력 9.3 Pickle
- 9.입력과 출력 9.2 파일입출력
- 9. 입력과 출력 9.1 입출력
- 8.자료구조 8.7 넘파이(numpy)
- 8.자료구조 8.6 집합(Set)
- 8.자료구조 8.5 열거형(Enum)
- 8.자료구조 8.4 사전
- 8.자료구조 8.3 튜플
- 8.자료구조 8.2 리스트
- 8.자료구조 8.1 문자열
- 7. 클래스 7.4 상속
- 7. 클래스 7.3 객체 초기화
- 7. 클래스 7.2 클래스의 사용
- 7. 클래스 7.1 클래스 정의하기
- 6. 모듈 과 패키지 6.5 패키지
- 6. 모듈 과 패키지 6.4 모듈의 name속성
- 6. 모듈 과 패키지 6.3 바이트 컴파일된 .pyc 파일
- 6. 모듈 과 패키지 6.2 dir() 함수를 이용하여 모듈 정보 알아내기
- 2018년 3월 프로그래밍 인기순위
- 6. 모듈 과 패키지 6.1 모듈을 정의하고 불러오기
- 5. 함수 5.7 람다(lambda) 함수
- 5. 함수 5.6 파이썬 내장함수
- 5. 함수 5.5 DocString
- 5. 함수 5.4 VarArgs 매개 변수
- 5. 함수 5.3 키워드 인수
- 5. 함수 5.2 기본 인수값
- 5. 함수 5.1 지역변수
- 4. 제어문 다루기 4.3 for
- 4. 제어문 다루기 4.2 while
- 4. 제어문 다루기 4.1 if문
- 파이썬 Python - OS.PATH 기초 정리 Curr
- 3. 연산자와 수식
- 2. 파이썬 기초 2.2 파이썬 기초
- 2. 파이썬 기초 2.1 첫걸음
- python 메소드 및 함수정리 모음
- C급 개발자와 함께하는 파이썬 - 01. 파이선 시작하기 #4
- C급 개발자와 함께하는 파이썬 - 01. 파이선 시작하기 #3
- 파이썬으로 간단한 스케줄러 만들기
- C급 개발자와 함께하는 파이썬 - 01. 파이선 시작하기 #2
- C급 개발자와 함께하는 파이썬 - 01. 파이선 시작하기 #1
- 파이썬(python)으로 RSS 크롤링하기
- Ubuntu(우분투) 리눅스에서 파이썬 설치하기
- 유용한 파이썬 라이브러리 모듈
- 파이썬으로 오늘날짜 폴더 생성하기
- 파이썬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 두뇌를 정복하는 방법
- 윈도에서 BeautifulSoup4 설치방법
- 파이썬 알고리즘 배우기 좋은 사이트
파이썬 Python - OS.PATH 기초 정리
파이썬 Python - OS.PATH 기초 정리
>>> sys.modules.keys()
현재 세션, 또는 프로그램안에서 사용되는 모든 모듈을 보여준다.
>>> sys.getrefcount(object)
>>> sys.exc_info()
returns a tuple with the latest exception's type, value, and traceback object
>>> try:
... raise IndexError
... except:
... print(sys.exc_info())
(<class 'IndexError'>, IndexError(), <traceback object at 0x00BAE8C8>)
첫번째, 두번째는 directly print 해도 괜찮고
세번째는 traceback module 을 사용해서 처리한다.
>>> import traceback, sys
>>> def grail(x):
... raise TypeError('already got one')
>>> try:
... grail('arthur')
... except:
... exc_info = sys.exc_info()
... print(exc_info[0])
... print(exc_info[1])
... traceback.print_tb(exc_info[2])
...
<class 'TypeError'>
already got one
File "<stdin>", line 2, in <module>
File "<stdin>", line 2, in grail
========================================================
>>> os.getpid()
3744
유니크한 프로세스 ID를 보여준다.
os.getpid function gives the calling process's process ID
(a unique system-defiend identifier for a running program, useful for process control and unique name creation)
>>> os.getcwd()
'E:\\view\\Git\\Python’
Current Working Directory 를 보여준다.
>>> os.path.isdir(r'c:\python36')
True
>>> os.path.isdir(r'c:\awfewef')
False
>>> os.path.isfile(r'c:\python36\python.exe')
True
>>> os.path.isfile(r'c:\python36\python')
False
>>> os.path.isfile(r'c:\python36\afwef')
False
폴더인지 파일인지.. type또한 체크하며
폴더나, 파일이 실재로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두가지 모두만족해야 True이다.
>>> os.path.exists(r'c:\python36')
True
>>> os.path.exists(r'c:\python36\python.exe')
True
>>> os.path.exists(r'c:\python36\asdf')
False
>>> os.path.exists(r'c:\python36\ss.exe')
False
os.path.exists 는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파일, 폴더..)
>>> os.path.getsize(r'c:\python36')
0
>>> os.path.getsize(r'c:\python36\python.exe')
97944
파일의 크기를 보여준다.
>>> os.path.split(r'c:\temp\test\python\hello.exe')
('c:\\temp\\test\\python', 'hello.exe')
파일부분과 폴더부분을 서로 잘라준다.
>>> os.path.join(r'c:\temp', 'hello.exe')
'c:\\temp\\hello.exe'
서로 합침..
리눅스에서는 리눅스에 맞춰서 합쳐준다.
>>> name = r'c:\temp\python\data.txt'
>>>
>>> os.path.dirname(name), os.path.basename(name)
('c:\\temp\\python', 'data.txt')
폴더, 파일을 보여준다. 파일이 없거나.. 형식에 맞지 않으면 아무것도 안나온다.
>>> os.path.splitext(name)
('c:\\temp\\python\\data', '.txt')
확장자만 따로 떨어뜨린다.
>>> pathname = r'c:\PP4thEd\Examples\PP4E\pyDemos.pyw'
>>>
>>> os.path.split(pathname)
('c:\\PP4thEd\\Examples\\PP4E', 'pyDemos.pyw')
>>>
>>> pathname.split(os.sep)
['c:', 'PP4thEd', 'Examples', 'PP4E', 'pyDemos.pyw']
>>>
>>> os.sep.join(pathname.split(os.sep))
'c:\\PP4thEd\\Examples\\PP4E\\pyDemos.pyw'
>>>
>>> os.sep
'\\'
>>>
>>> os.path.join(*pathname.split(os.sep))
'c:PP4thEd\\Examples\\PP4E\\pyDemos.pyw'
마지막 결과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c:\ 이게 아니라 c: 이렇게 나왔다.
>>> mixed
'C;\\\\temp\\\\public/files/index.html'
>>> os.path.normpath(mixed)
'C;\\temp\\public\\files\\index.html'
리눅스와 윈도우 디렉토리 포맷이 섞이거나, 잘못 써졌을때..
고치는 방법.
>>> os.chdir(r'c:\python36')
>>> os.getcwd()
'c:\\python36'
>>>
>>> os.chdir(r'e:\\')
>>> os.getcwd()
'e:\\'
폴더 이동하는 방법 COOL!!
정확하게 말하면 current working directory를 이동하는 거임
>>> os.chdir(r'e:\@work')
>>> os.getcwd()
'e:\\@work'
>>>
>>> os.path.abspath('temp')
'e:\\@work\\temp'
>>> os.path.abspath('temp\hello.txt')
'e:\\@work\\temp\\hello.txt'
>>> os.path.abspath(r'..\temp\hello.txt')
'e:\\temp\\hello.txt'
현재 폴더에 새로운 디렉토리나, 파일명등을 붙이는 방법
실제로 있을 필요는 없다.
마지막 예제를 보면.. ".." 이 있는데..
상위 폴더로 이동할수 있다.
출처: http://chess72.tistory.com/132 [거울속 항해일지]
출처에서 가져와서 캡쳐화면 몇개 추가하였습니다.
116. 선한 일은 서둘러 행하고, 악한 일에서는 마음을 멀리하라. 선한일을 하는 데 게으르면 그의 마음은 악을 즐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