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분투 설치를 위한 USB만들기
- apt-get으로 설치시 403에러 나는경우
- 우분투(ubuntu) apt-get 사용법
- 우분투에서 삼바(Samba) 설치 및 사용하기
- crontab 사용법
- 우분투(ubuntu) 리눅스에서 사용자 추가하기 #2/2
- 우분투(ubuntu) 리눅스에서 사용자 추가하기 #1/2 Curr
- 우분투(Ubuntu)명령어를 이용하여 버전확인하는 방법
- Ubuntu(우분투) GIT 서버 설정
- Ubuntu(우분투) 리눅스에서 파이썬 설치하기
- VirtualBox에 설치된 리눅스에 PuTTY로 접속하기
- Ubuntu(우분투) 명령어로 휴지통비우기
- Ubuntu(우분투) 노트북 덮개 영향 안받기
- Ubuntu(우분투) GIT 서버 설정
- Ubuntu(우분투) prompt 변경
- Ubuntu(우분투) 디렉토리 구조
- 우분투에서 jnlp 파일 실행하기
- 우분투에서 vim 설치 및 설정
- 우분투에서 FTP 설정하기
우분투(ubuntu) 리눅스에서 사용자 추가하기 #1/2
우분투(ubuntu) 리눅스에서 사용자 추가하기 #1/2
우분투를 사용하면서 root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지말라고 권고 하고 있습니다. root 계정 이외의 계정을 만들어서 사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분투에는 계정을 생성하는 명령어가 2가지 있습니다.
-
adduser
-
useradd
두가지 명령어는 모두 계정을 추가하는 명령어 이지만 약간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
adduser : 실행시 기본 계정 정보를 자동으로 생성
-
useradd : 계정만 생성하며 기타 계정 정보를 수동으로 생성 및 설정
-
adduser를 이용한 계정추가
step.1
adduser를 이용하여 새로운 계정을 생성합니다.
Enter new UNIX password : 가 나오면 입력하고 두번째도 동일한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비밀번호 입력후 새로 생성한 계정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나오는데 여기에 정보를 입력하면 됩니다. 그냥 Enter를 치는경우 기본값으로 입력됩니다.
$ sudo adduser python
step.2
새로 생성한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입력한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 sudo passwd python
step. 3
생성한 계정이 들어갈 그룹을 생성합니다.
$ sudo groupadd devgroup
step. 4
새로생성한 계정을 devgroup 그룹에 속하도록 변경합니다.
$ sudo usermod -a -G devgroup python
step. 5
마지막으로 계정의 홈 디렉토리를 설정합니다.
$ sudo usermod -d /var/devgroup/python user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adduser를 이용하여 python 계정을 생성해서 devgroup 그룹에 추가하고 계정이 사용할 홈디렉토리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다음은 새롭게 생성한 사용자로 로그인해 보았습니다.
두번째 방법인 useradd는 다음시간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adduser를 이용하여 우분투에서 새로운 계정을 만들어 봤습니다.
The unpleasant sound Bush is emitting as he traipses from one conservative gathering to another is a thin, tinny "arf" - the sound of a lap d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