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분투 설치를 위한 USB만들기
- apt-get으로 설치시 403에러 나는경우
- 우분투(ubuntu) apt-get 사용법
- 우분투에서 삼바(Samba) 설치 및 사용하기
- crontab 사용법
- 우분투(ubuntu) 리눅스에서 사용자 추가하기 #2/2
- 우분투(ubuntu) 리눅스에서 사용자 추가하기 #1/2
- 우분투(Ubuntu)명령어를 이용하여 버전확인하는 방법
- Ubuntu(우분투) GIT 서버 설정
- Ubuntu(우분투) 리눅스에서 파이썬 설치하기
- VirtualBox에 설치된 리눅스에 PuTTY로 접속하기 Curr
- Ubuntu(우분투) 명령어로 휴지통비우기
- Ubuntu(우분투) 노트북 덮개 영향 안받기
- Ubuntu(우분투) GIT 서버 설정
- Ubuntu(우분투) prompt 변경
- Ubuntu(우분투) 디렉토리 구조
- 우분투에서 jnlp 파일 실행하기
- 우분투에서 vim 설치 및 설정
- 우분투에서 FTP 설정하기
VirtualBox에 설치된 리눅스에 PuTTY로 접속하기
VirtualBox에 설치된 리눅스에 PuTTY로 접속하기
리눅스를 테스트하기 위해 우분투 리눅스 서버버전을 VirtualBox에 설치하였습니다. 이렇게 설치된 리눅스에 PuTTY로 접속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설치된 리눅스에 ssh server를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입력하고 엔터키를 입력합니다.
$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가상머신에 접속하기위해서는 가상머신의 네트워크 정보를 올바르게 알아야 접속할수 있습니다.
Oracle VM VirtualBox 관리자 프로그램에서 % 파일 > 환경설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파일 > 환경설정 메뉴 클릭
VirtualBox - 환경 설정 다이얼로그 박스에서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호스트 전용 네트워크 탭을 선택한후에 오른쪽 + 모양의 버튼을 클릭합니다.
VirtualBox Host-Only Ethernet Adapter #2가 만들어 졌습니다. 이것을 선택하고 마우스로 더블클릭합니다.
어댑터에 IPv4 주소를 확인하고 이후 설정을 하기위해 필요하니 잘 알아두기 바랍니다.
위의 설정이 끝나면 만들어진 가상서버의 환경설정을 변경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만들어진 가상서버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측버튼을 클릭합니다.
클릭하면 나오는 메뉴에서 설정메뉴를 클릭합니다.
설정다이얼로그 박스에서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고급 옆의 삼각형을 클릭합니다.
고급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포트 포워딩 버튼이 보이는데요. 이걸 클릭합니다.
서버에서 ifconfig로 네트워크를 확인하면 inet addr이 나옵니다. 10.0.2.15가 나오는데요. 아래 세팅에서 필요하니 확인해 놓기 바랍니다.
포트 포워딩 규칙을 만들어 줍니다.
위와 같이 이름 ssh, 호스트 IP는 VirtualBox - 환경설정에서 알아둔 192.168.50.1을 입력합니다. 포트는 둘다 22번을 입력합니다. 캐스트 IP는 방금 위에서 리눅스로 확인한 inet addr을 입력하고 OK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제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PuTTY를 실행해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해 보겠습니다.
PyTTY설치법은 아래에 잘 나와 있습니다.
PuTTY 설치법 : http://w3devlabs.net/wp/?p=16758
Host Name or IP address에 192.168.50.1(각각의 환경마다 다릅니다.)를 입력하고 Open 버튼을 클릭합니다.
짜잔.. ~~~ PuTTY로 접속에 성공하였습니다.
이상에서 로컬 가상서버에 설치된 PuTTY에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물론 조금만 응용하면 다른 컴에서도 접속이 가능할 거 같습니다.
좀더 파워풀한 리눅스 유저가 되기를 바랍니다.(저또한 배워가는 입장 이니 리눅스를 좀더 잘 알았으면 좋겠네요.)
Adversity is sometimes hard upon a man; but for one man who can stand prosperity, there are a hundred that will stand adversity